본문 바로가기

되돌아 본 삶

(47)
상주의 감마을 되돌아본 삶 상주의 '감마을' 2011년 11월. 경북 상주의 감마을을 찾았다. 집집마다 온통 붉은 감들을 말리고 있었다. 서울 촌놈에겐 한동안 별세상에 온 것 같은 착각에 빠졌었다. 나는 즉시 조그마한 스케치 북을 꺼내어 한 장 한 장 드로잉펜과 색연필로 메꾸기에 바빴다. 13년! 그 세월이 어언 바람결같이 지났다. 지금의 나는 어느 자리에 있는 것일까? "..........."
상주의 '곶감명가' 되돌아본 삶 상주의 '곶감명가' 그림의 사인을 보니 2010년 11월이다. 바로 엊그제 같기만 했는데 그 사이 13년의 쏜살같은 세월이 지났다. 당시, 블로그 친목회에서 경북 상주의 팸투어에 같이 합류해서 곶감이 상품화되기까지 일련의 과정을 견학했던 적이 있었다. 의 엄청난 규모는 서울촌놈에겐 신기하기만 했다. 귀향 즉시 나의 블로그에 그림을 곁들인 후기를 올렸었다.
파리의 몽마르뜨르 되돌아본 삶 파리의 몽마르트르 며칠 전 집 작업실을 홀라당 뒤집어 정리를 했다. 그 틈바구니에서 삐죽이 얼굴을 내민 스케치 조각들이 한 무더기 나왔다. 35여 년 전 파리로 출장을 갔을 때 스케치 했던 것들이었다. 반가웠다. 갑자기 그 옛날 파리의 향수가 물씬 풍겨 오는 것 같아 한참을 그 회상 속에서 맴돌았다. 그렇게 가 보고 싶었던 몽마르트르 광장이었다. 골목 입구에 들어서기 전 '사크레쾨르'대성당이 눈을 압도했었다. 파리의 유일한 동양식 건물로 하얀 색상이 유난히 눈이 부셔왔다. 실제로는 로마 '비잔틱'양식으로 지어졌다고 한다. 파리의 젊은 남녀, 특히 이국의 여행자들이 앉아 쉴 수 있는 계단이 있어 참 좋다. '사크레쾨르'성당을 옆으로 끼고 골목으로 올라서면 그 유명한 '몽마르트르'광장이 있다. ..
46년전 울릉도 도동항 ---------------- 되돌아본 삶 46년 전 울릉도 도동항 1977년 8월. '여성동아' 기자시절 울릉도로 취재를 갔다가 컬러펜슬로 잠깐 그렸던 스케치다. 지금으로부터 46년 전이다. ㅋㅋㅋ... 그후 2008년 8월에 중앙일보 문화면에 기재된 기사다.
'깍지 외할미'연재 되돌아본 삶 '깍지 외할미, 중앙일보 연재' 중앙일보 인터넷판에 '깍지 외할미'로 6개월동안 연재했던 일러스트다. 2021년 3월에 시작했으니 어언 3년의 세월이 흘렀다. [더,오래] 강인춘의 깍지외할미(10)
우리 부부야? 웬수야? 되돌아본 삶 '우리 부부야? 웬수야?' “당신 없인 단 하루도 못살겠어.” “당신하곤 단 하루도 못살아.” 같은 ‘당신’을 두고 정반대의 고백을 하게 만드는 것은 무엇일까? 정답은 ‘결혼’이다. 인터넷에서 이미 많은 유부남, 유부녀들의 고개를 끄덕이게 만든 강춘의 만화에세이 ‘우리 부부야, 웬수야?(추수밭)’가 책으로 나왔다. 남녀 관계를 다루는 대부분의 글들이 연애시절의 남녀를 주제로 삼고 있지만, 이 책은 부부 사이와 고부 사이, 시집과 친정의 차이 등 결혼 생활 전반을 폭넓게 다룬다. 또 남편과 아내 어느 한쪽의 입장이 아니라 양쪽의 시선에서 바라본 서로의 모습을 그리는 점도 이 책의 미덕이라고 할 만하다. 입덧하는 아내의 입맛을 맞추기 위해 뛰어다니다 “차라리 내가 임신했으면 좋겠다”고 투덜대는 ..
강인춘 일러스트 작가 구술기록 https://youtu.be/fPDkpL0bAvo?si=v5LoupDoKygLpfnr 되돌아본 삶 한국 그림책 구술기록 채록화(군포시) 강인춘 작가 구술기록 * 1941년 함경남도 함흥 출신 * KBS. 국립극장 무대미술. 동아일보. 등 근무 * 디자인회사 '꽃바람' 대표 * 한국무지개일러스트 창립 회원 대표작 '항아리의 비밀', '하늘에 그린 그림' "최근, 군포시청 문화예술과 박물관조성팀(그림책꿈마루)에서 한국 일러스트 생존 작가 몇분을 추려 한국 그림책 구술기록 채록화를 시행했습니다. 그 중 본인(강인춘)의 채록화를 이곳 블로그에 싣습니다"
시어머니와 며느리 되돌아본 삶 '시어머니와 며느리' 위의 일러스트는 2006년 5월 '가장의 달' 행사에서 여성가족부의 추천을 받았다. 17년 전 그림으로 읽는 에세이 부부학 '우리 부부야, 원수야?'에서 발췌한 일러스트다. 요즘 보기 드문 영상이 아닐까? 2006년 7월 추수밭 발행